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기록7

노란우산 소상공인 퇴직금 + 절세 대상 : 소기업·소상공인 범위에 포함되는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의 대표자 [혜택]1. 소득공제 (사업소득만)사업소득 ~4천만원 : (한도)500만원4천만원 ~ 1억 : (한도) 300만원1억 ~ : (한도) 200만원까지 소득공제 해주며, 임대소득 및 기타 소득은 공제 X (사업소득만 공제) 2. 압류불가 3. 복리 이율 (이자 비과세) 4. 폐업시 금액 일시금 수령(이 원칙) (20년간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음) 5. 저렴한 퇴직소득세 (약 1% 미만) [제한]1. 수령조건 : 60세 이상 & 10년(120개월) 이상 납부 2. 임의해지시 소득공제 받은 금액 + 이자에 대해 16.5% 기타 소득세 납부 [기타]지자체 지원 조사필요한도까지만 채우면 됨 (연금계좌 먼저) 2024. 5. 8.
연금계좌(IRP) [혜택]1. 세액공제 (매 연말정산마다)→ 연간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대상· 총 급여액 5,500만원 이하 : 16.5% (148.5만원) · 총 급여액 5,500만원 초과 : 13.2% (118.8만원)(세율은 지방소득세 10% 포함) 2. 과세이연→ 운용수익에 대한 과세를 연금 수령 시기로 이연, 연금소득으로 저율과세 (3.3% ~ 5.5%)50세 ~ 69세 : 5.5%70세 ~ 79세 : 4.4%80세 ~ : 3.3% [제한]1. 소득이 있는 사람만 개설 가능 2. 투자 가능 상품 : 현금, 연금펀드, ETF, 리츠, 예금, RP, ELS(주식 직접투자 없음) 3. 위험자산 편입 비중 70% 이하로 설정→ 안전자산 비중을 30% 이상 설정해야함. 4. 중도인출 : 특별 사유 없이 불가능 (요.. 2024. 5. 8.
연금계좌(연금저축계좌) [혜택]1. 세액공제 (매 연말정산마다)→ 연간 최대 600만원까지 세액공제 대상· 총 급여액 5,500만원 이하 : 16.5% (99만원) · 총 급여액 5,500만원 초과 : 13.2% (79.2만원)(세율은 지방소득세 10% 포함) 2. 과세이연→ 운용수익에 대한 과세를 연금 수령 시기로 이연, 연금소득으로 저율과세 (3.3% ~ 5.5%)50세 ~ 69세 : 5.5%70세 ~ 79세 : 4.4%80세 ~ : 3.3% 3. 다양한 상품 투자 가능→ 국내상장ETF 투자가능 (인버스&레버리지 제외)→ 공모상장 리츠 매매 가능 (사전 동의 필수) 4. 자유로운 입출금 →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은 세부담 없이 중도인출 가능※ 세액공제 받은 원금 및 운용 수익은 중도인출시 과세 [제한]1. 납입한도→ 연금.. 2024. 5. 8.
ISA 계좌 종류 : 신탁형 / 일임형 / 중개형 [혜택]1. 과세이연→ 세금을 만기시점에 납부 2. 손익통산→ 수익과 손실을 합산하여 순수익만 과세 3. 비과세→ 일반형(5천만원 이상 근로자 또는 3천8백만원 이상 사업자) : 200만원까지 비과세 (초과금 9.9%) → 서민형(일반형 조건 외) : 400만원까지 비과세 (초과금 9.9%)※ 2024년 개정안 : 일반형 : 500만원 / 서민형 : 1,000만원 까지 비과세 혜택 증가 [제한]1. 의무보유기간 3년2. 연간 납입한도 2천만원 / 최대 1억원 (한도 이월효과)※ 2024년 개정안 : 4천만원 / 최대 2억원3. 납입금액 이내 언제든지 중도인출 가능 [만기 이후]· 연금계좌(연금저축계좌 or IRP)로 이체 가능 (만기 후 60일 이내 매도&현금화된 상.. 2024. 5. 7.
청년내일저축계좌 나이 조건 : 만 19세 ~ 만 34세단, 수급자, 차상위, 중위소득 50%이하자는 만 39세까지 근로 조건 : 현재 근로(사업)활동 중이며 소득(급여) 월 50만원 초과 ~ 월 230만원 이하 가구소득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지원 : 월 10만원 저축시 10만원 정부 지원 (차상위 : 30만원) 만기 수급액 : 3년 만기시 원금 360만원 + 360만원 (차상위 1080만원) 만기 조건 : 1) 근로활동 지속, 2) 교육 이수(10시간), 3)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4.2만명(22년) + 4.8만명(23년) + 4.4만명(24년) 총 13.4만명 수혜 예정 접수처 : 복지로(www.bokjiro.go.kr) 및 행정복지센터 [개인의견]가능하면 무조건 2024. 5. 6.
청년형 소득공제장기펀드계좌 나이 조건 : 만 19세 ~ 34세 (병역이행경우 복무기간 인정) 소득 조건 : 직전년도 총급여 5천만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 ※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가입기간 : 2023년 3월 20일 ~ 2023년 12월 31일 (연장 ~ 2024년 12월 31일) 제출서류 : 홈택스 > 국세증명 · 사업자등록  · 세금관련 신청/신고 > 즉시발급 증명 > 소득확인증명서(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 가입 및 과세특례 신청용) 혜택 : 가입일로부터 5년까지 납입금액의 40% 소득공제 (최대 240만원, 즉 600만원 납입한도)단, 3년이내 해지 시 소득세를 추징당함 (납입한 금액의 6.6% 지방소둑세 포함하여 부과) [개인평가]연금저축펀드/IRP 는 세액공제이므로 .. 2024. 5. 6.
스팩주 투자 한줄평 : 잃지 않는 투자 기법 [조건]1) 공모가 이하2) 합병공시가 뜨지 않은 종목 스팩목록 (현재가) 확인법1. 네이버페이증권 : https://finance.naver.com/ 공모가 확인법1. 38커뮤니케이션 : https://www.38.co.kr/html/fund/?o=k 합병공시 확인법1. 전자공시시스템(다트 DART) : https://dart.fss.or.kr/dsab007/main.do?option=corp 의견공모주랑 더불어서 거의 잃지 않는 투자법.종목수도 그리 많지않고 기회도 많이 오진 않지만 주의 깊게 살펴봐야겠음. 2024.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