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
이번 코로나 19 사태로 뉴스에서 양적완화라는 단어가 많이 들려온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간간히 들어보던 거였지만 한국 뉴스에서도, 미국 뉴스에서도 심심찮게 들려온다.
양적완화란 뭘까?
간단히 말하면 한국은행과 같은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내는 것이다.
시중에 돈이 많아진다.
돈이 풀리니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그럼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의 가치는 어떻게 되는걸까?
금리
코로나 19로 인하여 양적완화와 또 다른 핫 키워드인 금리가 있다.
금리는 이자율이다.
세계 각국마다 금리는 다르다. 각각의 경제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사상 최저 금리를 갱신하였는데, 현재 대한민국의 금리는 0.5%이다.
(링크 :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
문제는 대한민국에서는 기준금리가 1년에 0.5%라는 것이다.
100만원이 통장에 있다면 1년뒤에는 100만 5천원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 33년간 평균 3.65%으로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링크 : 기본통계표: 소비자물가상승률 (연, 1986~2019))
즉, 현재 가지고 있는 돈을 가만히 통장에만 놔둔다면 물가의 상승에 의해서 돈의 가치가 점점 더 떨어진다는 것.
그렇다면 어떻게 돈을 지킬 수 있을까?
어떻게 자산가치의 하락을 극복해낼수 있을까?
방법은 간단하다. 물가상승률과 같게, 또는 그 이상으로 내가 가진 돈의 수량을 늘리면 된다.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부의 상징으로 구경조차 하기 힘든 아이템 "일비표창"
게임 서비스 초창기때에는 현금으로 구매하기 위해서는 67만원을 지불해야 했다.
하지만 지금의 현금가치는 370원
(99.945% 하락)
공급이 늘어남에 따라 가격하락의 요인이 된부분도 있지만,
그보다는 게임의 화폐인 '메소'의 가치하락이 주원인이다.
일비표창의 가격
게임 초창기 - 2,000만 메소
현재 - 1,000만 메소
(게임 아이템을 얻기가 쉬워짐에 따라 가격 하락)
메소와 현금의 비율
게임 초창기 - 1 : 30 ( 1만원당 300,000메소 )
현재 - 1 : 27,000 ( 1만원당 270,000,000메소)
90000%(900배) 상승
(2020.07.05 기준)
노후
OECD 주요국의 기대수명은 80.7년,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링크 : 기대수명 - OECD 회원국 중심)
그렇다면 근로수명이라 불리는 은퇴연령은 언제일까?
기대수명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이전과는 다르게 노후를 대비한 자금의 확보가 필요해졌다.
성공적인 노후를 준비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안전한 항구를 떠나 향해하라.
당신의 돛에 무역풍을 가득 담아라.
탐험하라. 꿈꾸라. 발견하라.
Mark Twain (1835~1910)
'재테크 > 투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란 대체 무엇인가? (0) | 2021.04.02 |
---|---|
노후대비, 투자를 해야하는 첫번째 이유 (0) | 2021.01.15 |
여러가지 재테크들 (0) | 2020.07.22 |
계속하여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0) | 2020.07.19 |
댓글